반응형
너무나도 안타까운 일이 발생 하였습니다.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한 항공사고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건데요,
상업항공 서비스가 시작된지 100년도 넘었는데,
아직도 새 한 마리가 이렇게 큰 항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잘 믿겨지지 않습니다.
오늘은 버드 스트라이크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드 스트라이크를 완전히 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공항과 항공기 운영자들이 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들은 주로 조류의 활동을 억제하거나 비행기와 충돌 가능성을 줄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항 관리 차원의 조치
(1) 조류 서식지 관리
-공항 주변 환경 관리: 공항 주변에 조류가 모일 수 있는 연못, 풀밭, 쓰레기 매립지 등을 제거하거나
관리하여 조류의 서식과 접근을 최소화합니다.
-먹이 공급 억제: 쓰레기 처리 시설을 잘 관리하고, 공항 근처에 조류가 먹이를 찾지 못하도록 환경을 조성합니다.
(2) 조류 퇴치 장치
-소리 및 초음파 장치: 특정 소리나 초음파로 새들을 쫓아내는 장비를 설치합니다.
-레이저: 새들이 싫어하는 특정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공항 주변의 조류 활동을 억제합니다.
-매 훈련: 공항 주변에서 훈련된 매를 이용해 다른 새들을 쫓아내는 방법도 사용됩니다.
(3) 조류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레이더 시스템: 조류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파일럿과 관제사에게 경고를 보냅니다.
-드론 감시: 공항 주변에서 드론을 활용해 조류의 활동을 관찰하고 즉각적인 대응을 합니다.
2. 항공기 운영 차원의 조치
(1) 비행 경로 및 시간 조정
-조류 활동이 활발한 시간대(일출, 일몰 시간)와 특정 경로를 피하도록 비행 일정을 조정합니다.
-이륙 및 착륙 시 조류가 많이 몰리는 고도(약 0~3,000ft)를 신속히 벗어나도록 계획합니다.
(2) 항공기 구조 개선
-조류 충돌 방지 설계: 항공기 엔진과 앞유리에 내구성을 강화하여 조류와의 충돌 시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소음 감소: 조류는 소리에 민감하기 때문에 항공기 소음이 크면 새들이 접근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특성을 활용해 소음 패턴을 조정합니다.
3. 파일럿 및 항공 관제사 차원의 조치
(1) 상황 인식
-파일럿과 관제사가 조류 활동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위험 지역을 우회합니다.
-이륙이나 착륙 시 조류 충돌 가능성이 높은 구간에서 최대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2) 긴급 대응 훈련
-조류와 충돌했을 때 엔진 손상 또는 시스템 장애 상황에 대비해 정기적으로 시뮬레이션 훈련을 실시합니다.
4. 기술적 솔루션
(1) 드론 활용
-드론을 이용해 조류를 추적하거나 공항 주변에서 조류를 쫓아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2) 조류 회피 시스템
-항공기에 조류 탐지 레이더를 장착하여 충돌 가능성을 사전에 경고하고, 조종사가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실제 인천국제공항에서는 전담요원을 배치하여 순찰하는 것은 물론,
음파 퇴치기를 도입하여 운영중이며, 레이저 건이나 드론 등 최첨단 기술을 이용해 버드 스트라이크를
방지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사고 피해자분들의 애도를 빕니다.
반응형
'이런저런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풍기와 서큘레이터 차이 (0) | 2023.07.01 |
---|---|
술라웨시 정보 (0) | 2023.06.20 |
싱하이밍은 어떤 사람? (0) | 2023.06.11 |
시험관 시술의 부작용 (0) | 2023.06.06 |
시험관 과배란 주사를 맞으면 난자 갯수를 미리 쓰는걸까? (0)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