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2) 썸네일형 리스트형 CPI와 Core CPI(근원CPI)의 차이 '23년 4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발표 되었습니다. 4월 CPI는 전년동월 대비 4.9% 상승으로시장에서 예상했던 5.0%를 밑돌았고,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이 꺾이기 시작하였으며 연준이 곧 금리 인상 기조를 멈출 거라는 기대감을 가지는 플레이어들도 생긴 것 같습니다. 과연 연준이 금리인상 기조를 멈출 지 멈추지 않을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무튼 오늘 다루려는 이야기는 이러한 전망 이야기는 아닙니다. 뉴스를 좀 더 보니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다만, 근원 CPI는 전년대비 5.5%, 전월 대비 0.4% 올라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 여기서 말하는 근원 CPI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요? 무엇이 다르길래 근원 CPI를 보면 아직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았다고 말하는 걸까요? CPI와 Core CPI.. CPI와 PCE 두 물가지수의 차이점 요새 미국 경제뉴스를 보면 자주 등장하는 두 단어입니다. 바로 CPI와 PCE지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얼마나 강하게 버티고 있는지 측정할 때, 고용지수와 함께 많은 경제 관련 부처, 학자, 업계 사람들이 살펴보고 정책의 방향을 잡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CPI(Consumer Price Index)와 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는 모두 소비자 물가지수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그렇다면 이 둘은 정확하게 어떤 점이 다른 걸까요? 1. 산출방법 CPI는 가정당 소비지출을 추적하여 측정합니다. 가계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수집하고 이에 가중치를 두어 계산합니다. 반면에, PCE는 소비자 지출을 추적하여 측정합니다. 즉, CPI는 가계가 직접 구입하는 상.. 이전 1 다음